* 재배포 또는 인용시 글쓴이에게 누가 되지 않도록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- 에이스퀘어(2023). [인터뷰] "극지에서 마주한 자연의 숭고함". <A Square>. Vol.07.
- 조은주(2022). 두 ‘파편의 경치’에 나타난 ‘경치(景致)’ 이미지와 감성적 사유 연구. <한국문학과 예술>. 제44집.
- 윤미애(2021). <가위 바위 보>의 기억하기: 우울한 시선과 희망의 신호 사이에서. <장소, 곳, 공간>. 화이트블럭 천안창작촌.
- 문혜진(2021). 존재론적 원정을 향한 두 번째 항해. <파이돈>.
- 황보선(2020). [인터뷰]"지금 여기, 다른 곳에". 마리끌레르 10월호.
- 신보슬(2019). 이미지와 사운드, 텍스트의 저글링이 만들어내는 이야기. <생생화화:흩어진 생각, 조합된 경험>. 단원미술관.
- 김지훈(2018). 두 개의 아방가르드를 종합하기, 다른 내러티브의 다면체.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.
- 정세라(2017). [인터뷰]"오늘을 살아가는 자화상". 더스트림.
- 차승주(2016). [인터뷰]. <관계적 시간/Emerging Other>. 아르코미술관.
- 이장욱(2016). 캐릭터 대 캐릭터. <관계적 시간/Emerging Other>. 아르코미술관.
- 서현석(2005). 제3의 권력을 위한 독백. MIA 소장작품 리뷰. 연세대학교.
- 오정연(2005). [인터뷰]"자유로운 '영화'를 만들 뿐이다". 씨네21.